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

주식 감자를 하는 이유와 주가 영향 / 예시: 에이프로젠

by 동동이 산책 2023. 2. 10.

가끔 기업 공시를 보면 주식을 감자한다는 소식이 전해 들려오곤 합니다. 기업은 이 주식 감자를 왜 하고, 주식 감자에 따른 주가 영향은 어떨까요? 평소 궁금해했던 내용인데요. 자세히 설명이 나와있는 글이나 정보를 찾기 어렵더라고요. 이번엔 이에 대해 제가 공부한 내용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감자 이유: 자본잠식 비율을 조정해 관리종목에서 벗어나기 위함

 

주식회사에서 주식 감자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관리종목에서 벗어나기 위함입니다. 관리종목에 걸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하나가 자본금의 50% 이상이 잠식되면 관리종목에 들어가고, 자본금이 100% 잠식되면 상장폐지가 됩니다. 또한 관리종목으로 여러 해 지속될 경우 (유가증권의 경우 2년 연속)에도 상장폐지 조건이 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리종목으로 남게 되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자본 잠식이란? 기업의 영업적자로 인해 총자본이 자본금 이하로 내려가는 것

 

그러면 자본 잠식은 무엇일까요? 이에 대해 이해하려면 먼저 자본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이와 같이 자본은 자산을 이루는 요소입니다.

그리고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요. 아래에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주식을 발행하게 되면 주식에는 액면 금액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액면금 500원, 5,000원 등으로 주식을 발행하게 됩니다. 만약 5,000원 액면금액으로 만 원짜리 주식을 100개 발행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회사는 만원짜리 주식 100개를 팔아 100만원의 돈이 들어오게 됩니다. 그중, 5,000원 x 100개 = 500,000만원(오십만원)이 자본금으로 회계상 처리되고,  나머지 50만원은 잉여자본금으로 회계처리가 됩니다.

그럼 이 회사가 작년 사업을 통해 십만원의 순이익이 남았다고 가정합시다. 그러면 회사의 현재 총자본은 다음과 같이 됩니다.

자본금
50만원
총 자본 110만원
자본잉여금
50만원
이익잉여금
10만원
자본금 = 발행주식수 * 주당액면가액

 

이런 상황에서 올해 이 회사가 사업을 통해 적자를 85만원을 기록했다고 가정합시다.

그렇다면 총 자본 110만원에서 85만원이 깍여서 총자본은 25만원이 되게 됩니다. 이렇게 총자본이 25만원으로 자본금의 50%이하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럴 경우 자본잠식이 일어나게 됩니다.

자본금
50만원
총 자본 25만원
자본잉여금
50만원
이익잉여금
10만원 - 85만원

 

이런 상황에서 만약 감자를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액면가 5,000원 주식 100개를 20개로 무상감자하면 자본금은 50만원에서 10만원이되고 이렇게 줄어든 40만원은 자본잉여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 방법은 주식 합병을 통한 감자) 또는 액면가 5,000원 주식 100개를 1,000원 100개로 무상감자하게 돼도 자본금은 50만원에서 10만원이 됩니다. (이 방법은 액면가 감액을 통한 감자)

이렇게 무상감자를 하게 되면 회계상 자본금에 있던 돈이 자본잉여금으로 들어가고 그러면 자본금대비 총자본의 비율이 250%가 되어 자본잠식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런 회계상 처리가 무상감자입니다.

자본금
10만원
총 자본 25만원
자본잉여금
0
이익잉여금
0

 

 무상감자의 예 / 에이프로젠

 

아래의 경우 최근 에이프로젠(주)에서 진행한 주식 병합을 통한 무상감자의 예입니다. 액면가액은 500원으로 유지되지만  감자전 후 보통주는 761,0006,575개에서 2/3 감소한 253,668,855개가 되었고 자본금은 253,668,855 (보통주 수) * 500원 (액면가액) = 126,834,427,500원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총자본이 자본금의 50%이상으로 진행되었을 것입니다.

 

이로인해 에이프로젠의 주당가격은 감자 전 573원에서, 감자 후 1720으로 3배 증가된 것으로 표시된 것입니다. 감자 완료 후에는 일반적으로 주가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이기 때문에 동일하게 주가가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다음날에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몰리면서 주가가 크게 오른 것으로 보입니다. 무슨 이유로 갑자기 외국인과 기관이 갑자기 매수를 많이 했는지 모르겠네요...

오늘은 상폐, 관리종목 기준에 의해 자본금 조정을 위한 무상감자, 그리고 그에 따른 주가 영향에 배웠고 마지막으로 예로 최근 에이프로젠의 사례로 추가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워렌버핏 형님께서: 첫 번째 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 두 번째 원칙은 첫 번째 원칙을 따르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죠. 그리고 사경인 회계사께서도 똑같은 중요성을 말씀하시면서 위의 내용에 대해 자세히 기술해 주셨습니다. 또한 최근 제가 즐겨 보고 있는 유튜브 장사의 신에서도 실패할 조건을 제거하면서 장사를 하신다고 하셨는데요. 그런 관점에서 이런 내용을 공부하는 것이 회계처리, 재무제표와 함께 돈을 잃지 않는 눈을 키우는데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배우다 보면 어느덧 크게 성장한 나 자신을 발견하지 않을까요?

이웃님들도 같이 공부하면서 잃지 않는 투자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음에 또 다른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